정보공유

결혼식 하객 축의금 금액 기준, 봉투 이름 쓰는 법 - 축의금 가이드

babymurloc 2025. 4. 5. 06:00
728x90
반응형

축의금 봉투 예시

 

결혼식 하객으로 참석할 때 축의금 봉투 작성법 & 금액 가이드

결혼식에 참석할 때 축의금을 준비하는 것은 신랑·신부를 축하하는 중요한 예의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축의금 봉투를 어떻게 작성해야 하는지, 그리고 얼마를 내는 것이 적절한지 고민될 때가 많죠.

 

그래서 축의금 봉투를 올바르게 작성하는 방법과 관계별 적정 금액을 상세히 알려드리겠습니다.


꼭 정형화된 기준을 따라야만 하는 것은 아니다

 

1. 축의금 봉투 작성법

 

📌 봉투의 앞면 (가장 중요한 부분!)

축의금 봉투 앞면에는 반드시 "축의금" 또는 "祝儀"(한자 표현)를 기재하고,
그 아래에 본인의 이름을 정자로 또박또박 적어야 합니다.

 

예시 (한글):

축의금  
김민수

 

예시 (한자):

祝儀  
金珉洙

 

📌 추가 TIP:

  • 본인의 이름은 가급적 정자체로 작성해야 가독성이 좋습니다.
  • 한자를 사용하면 더 격식 있어 보이지만, 일반적으로 한글로 써도 괜찮습니다.
  • 만약 가족 또는 단체로 축의금을 낸다면, 대표자의 이름을 쓰거나 **"○○가족 일동", "○○회사 동료 일동"**처럼 기재합니다.

가족 대표로 낼 경우:

축의금  
김민수 가족 일동

 

직장 동료 여러 명이 함께 낼 경우:

축의금  
○○회사 동료 일동

같은 이름이 있을 수 있으니 소속을 적으면 더 좋다

 

반응형

📌 봉투의 뒷면 (추가 정보 기재)

 

축의금 봉투의 뒷면 좌측 하단에는 본인의 이름과 연락처를 적어두는 것이 좋습니다.
이렇게 하면 신랑·신부 측에서 축의금을 정리할 때 누가 얼마를 냈는지 확인하기 쉬워집니다.

 

예시:

김민수  
010-1234-5678

 

📌 추가 TIP:

  • 신랑·신부가 결혼 후 감사 인사를 할 때 참고할 수 있으므로, 가능하면 연락처도 함께 적는 것이 좋습니다.
  • 관계를 명확하게 하기 위해 "대학 동기", "회사 동료" 등 소속을 추가하면 더욱 좋습니다.

예시 (소속 추가):

김민수 (대학 동기)  
010-1234-5678

본인이 낸 금액만큼 돌려 받는다

 

2. 축의금 금액 가이드 (얼마를 내야 할까?)

 

축의금 금액은 신랑·신부와의 친분 정도, 사회적 관계, 경제적 여건 등을 고려하여 결정하는 것이 좋습니다.

 

또한, 일반적으로 홀수 금액(5만 원, 10만 원, 30만 원 등)을 선호하는데,
이는 "짝이 맞지 않는다"는 의미를 피하기 위해서입니다.

 

728x90

📌 관계별 적정 축의금 금액

관계 추천 금액 (원) 설명

일반적인 지인/직장 동료 5만 원 결혼식 초대는 받았지만 가깝지 않은 관계일 경우
친한 친구/직장 동료 7~10만 원 자주 연락하고 친밀한 관계일 경우
절친한 친구 10~20만 원 평소에도 깊은 관계를 유지하는 경우
친척 (사촌, 조카 등) 10~20만 원 가족 행사에서 자주 보는 정도의 친척
형제자매 30~50만 원 결혼 이후에도 지속적인 가족관계를 유지하는 경우
부모 50만 원 이상 부모님의 경우 결혼 비용을 일부 부담하기도 함

 

📌 추가 TIP:

✅ 축의금 최소 금액은 5만 원부터가 일반적입니다.
✅ 한 커플이 함께 낼 경우, 개별적으로 5만 원씩 내기보다는 10만 원을 함께 내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 친구들과 단체로 모아서 낼 경우, 1인당 5~10만 원씩 모아서 공동 명의로 봉투를 작성하는 것도 좋은 방법입니다.

 

예시 (친구 여러 명이 함께 낼 경우):

축의금  
○○고등학교 친구 일동

정신없는 결혼식장에서 뽑지말고 미리 준비하기!

 

3. 축의금 봉투 사용 시 주의사항

 

봉투는 깨끗한 것을 사용하세요.

  • 축의금 봉투는 신랑·신부와 가족들이 직접 확인하는 것이므로 깨끗한 흰색 봉투를 사용하는 것이 좋습니다.
  • 회사에서 지급하는 브랜드 로고가 있는 봉투는 가급적 사용하지 않는 것이 예의입니다.

지폐는 가급적 새 돈(신권)을 사용하세요.

  • 결혼식은 축하하는 자리이므로, 구겨지거나 낡은 돈보다는 깨끗한 지폐를 사용하는 것이 예의입니다.
  • 은행에서 미리 신권 교환을 해두거나, 급할 경우 ATM에서 꺼낸 비교적 깨끗한 지폐를 준비하는 것이 좋습니다.

축의금은 미리 봉투에 넣어 준비하세요.

  • 현장에서 급하게 돈을 봉투에 넣거나 접는 것은 실례가 될 수 있습니다.
  • 미리 집에서 정리하여 준비하는 것이 좋으며, 명확한 금액을 준비하여 거스름돈을 받는 일이 없도록 해야 합니다.

결혼식장에서 축의금 전달하는 방법


1️⃣ 결혼식장에 도착하면 신랑 측 / 신부 측 접수대를 확인합니다.
2️⃣ 본인이 가까운 측(신랑 또는 신부) 접수대에서 축의금을 봉투째로 정중하게 전달합니다.
3️⃣ 접수대에서 축의금을 접수하면, 방명록을 작성하는 경우도 있으니 확인 후 작성합니다.
4️⃣ "결혼을 진심으로 축하드립니다"라고 인사하는 것이 좋습니다.


축의금 액수보다 결혼식에 참석해주는 마음이 더 중요한 법

 

💡 결론 (한눈에 정리!)

 

봉투 앞면: "축의금"과 이름을 정자로 기재 (필요 시 한자 가능)
봉투 뒷면: 이름 + 연락처 + (필요 시) 관계나 소속 기재
금액 추천:

  • 일반 지인: 5만 원
  • 친한 친구/직장 동료: 7~10만 원
  • 절친한 친구: 10~20만 원
  • 가족(형제자매, 친척): 10~50만 원 이상
    홀수 단위(5, 10, 30만 원 등)로 내는 것이 좋음
    깨끗한 봉투와 새 지폐 사용, 미리 준비하여 전달

진심으로 축하해주고 맛있는 식사도 하고 오기!

 

결혼식에 참석하는 것은 신랑·신부에게 큰 의미가 있는 일이므로,
축의금도 단순한 돈이 아니라 축하의 마음을 담아 정성스럽게 준비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

 

멋진 결혼식 다녀오시고, 신랑·신부에게도 따뜻한 축하의 인사 전해 주세요! 🎉

728x90
반응형